2024.05.16 (목)

  • 흐림속초10.2℃
  • 비7.9℃
  • 흐림철원6.6℃
  • 흐림동두천6.0℃
  • 흐림파주6.3℃
  • 흐림대관령3.2℃
  • 흐림춘천7.8℃
  • 맑음백령도8.8℃
  • 비북강릉8.6℃
  • 흐림강릉9.2℃
  • 흐림동해9.4℃
  • 비서울7.6℃
  • 비인천7.3℃
  • 흐림원주9.0℃
  • 구름많음울릉도12.9℃
  • 비수원7.4℃
  • 흐림영월8.8℃
  • 흐림충주8.6℃
  • 흐림서산8.2℃
  • 흐림울진9.2℃
  • 비청주9.5℃
  • 비대전8.9℃
  • 흐림추풍령8.9℃
  • 비안동10.0℃
  • 흐림상주9.6℃
  • 비포항12.1℃
  • 맑음군산9.9℃
  • 비대구10.9℃
  • 흐림전주10.7℃
  • 비울산10.3℃
  • 구름많음창원13.5℃
  • 흐림광주10.9℃
  • 구름조금부산13.7℃
  • 구름조금통영13.8℃
  • 맑음목포12.9℃
  • 구름많음여수11.5℃
  • 맑음흑산도13.5℃
  • 맑음완도13.9℃
  • 구름많음고창0.6℃
  • 구름조금순천8.6℃
  • 비홍성(예)8.7℃
  • 흐림8.8℃
  • 맑음제주15.0℃
  • 맑음고산14.2℃
  • 맑음성산13.6℃
  • 맑음서귀포13.8℃
  • 구름조금진주13.1℃
  • 흐림강화8.1℃
  • 흐림양평8.7℃
  • 흐림이천7.9℃
  • 흐림인제7.7℃
  • 흐림홍천7.7℃
  • 흐림태백4.8℃
  • 흐림정선군7.1℃
  • 흐림제천8.1℃
  • 흐림보은9.8℃
  • 흐림천안9.1℃
  • 흐림보령8.6℃
  • 구름많음부여8.7℃
  • 흐림금산9.5℃
  • 흐림8.8℃
  • 구름조금부안11.4℃
  • 흐림임실9.8℃
  • 구름많음정읍10.9℃
  • 흐림남원9.7℃
  • 흐림장수8.6℃
  • 구름많음고창군11.3℃
  • 구름많음영광군12.1℃
  • 맑음김해시12.5℃
  • 흐림순창군11.2℃
  • 흐림북창원13.9℃
  • 맑음양산시13.2℃
  • 맑음보성군10.3℃
  • 맑음강진군13.3℃
  • 맑음장흥12.0℃
  • 맑음해남13.7℃
  • 구름조금고흥10.6℃
  • 구름많음의령군12.6℃
  • 흐림함양군10.7℃
  • 구름조금광양시10.2℃
  • 맑음진도군14.1℃
  • 흐림봉화8.9℃
  • 흐림영주9.4℃
  • 흐림문경9.2℃
  • 흐림청송군9.4℃
  • 흐림영덕9.7℃
  • 흐림의성10.8℃
  • 흐림구미10.5℃
  • 흐림영천10.3℃
  • 흐림경주시10.6℃
  • 흐림거창11.0℃
  • 구름많음합천13.4℃
  • 흐림밀양12.1℃
  • 구름많음산청10.4℃
  • 구름많음거제13.8℃
  • 구름많음남해12.5℃
  • 구름조금13.6℃
통도사 자장매와 화엄사의 흑매화 비교/ 와이뉴스총괄위원장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칼럼

통도사 자장매와 화엄사의 흑매화 비교/ 와이뉴스총괄위원장

전남 구례 화엄사의 홍매화는 색깔이 매우 진하고 붉어 일명 흑매화라고도 한다. 통도사의 자장매가 전국에서 가장 일찍 피어 거의 두 달 이상 동안 아름다운 꽃을 보여주기 

동남문화관광연구소 소장 관광경영학 박사 심상도

 

1. 보물인 영산전 뒤에 있는 통도사 자장매, 국보인 각황전 옆에 있는 화엄사 흑매화

 

 

전남 구례 화엄사의 홍매화는 색깔이 매우 진하고 붉어 일명 흑매화라고도 한다. 통도사의 자장매가 전국에서 가장 일찍 피어 거의 두 달 이상 동안 아름다운 꽃을 보여주기 때문에 많은 불자, 관광객, 사진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화엄사의 홍매화는 지리산 자락의 추운 곳에 자리 잡고 있어 개화기가 늦은 편이다. 화엄사의 흑매화 역시 매우 아름다워 한 번 보게 되면 반하게 된다. 개화시기와 개화 지속기간 면에서 통도사 자장매가 화엄사 흑매화보다 뛰어나다.

 

 

화엄사 흑매화는 국보인 각황전, 석등, 보물인 사자탑을 함께 사진에 담을 수 있다. 통도사는 국보인 대웅전과 금강계단이 자장매와 떨어져 있어 함께 담을 수 없다. 화엄사는 국보인 각황전, 석등, 사자탑, 보물인 대웅전, 5층탑과 흑매화를 포함하여 찍을 수 있다.

 

 

통도사는 보물인 영산전을 자장매와 한 구도에 넣을 수 있다. 화엄사는 국보와 보물을 흑매화와 한꺼번에 담을 수 있어 통도사 자장매보다 우위에 있다.

 

 

통도사와 화엄사의 입장객 통계를 통해 자장매와 흑매화의 인기도를 간접적으로 비교해보기로 한다. e-나라지표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통계에 의하면 통도사 입장객 수는 2017년 3,442,725명, 2018년 2,398,999명이다.

 

 

2018년 월별 입장객 수는 1월 320,831명, 2월 424,612명, 3월 315,039명, 5월 341,803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연중 1위는 2월, 2위는 5월, 3위는 1월이다. 2018년 초파일은 5월 22일로 5월의 입장객 수에 영향을 미쳤다.

 

 

구례 화엄사는 2017년 446,078명, 2018년 557,005명, 흑매화가 핀 2018년 3월은 63,611명으로 월별 통계 2위, 단풍철인 10월이 72,343명으로 월별 입장객 수 1위로 나타나고 있다.

 

 

통도사와 화엄사의 입장객 수는 통도사가 압도적으로 많고, 통도사 2월 입장객 수는 화엄사의 1년 전체 입장객 수에 근접하고 있다. 통도사 자장매가 한창인 2월에 월별 입장객 수가 최고이며, 극락보전 옆의 홍매화가 활짝 피는 3월에도 입장객 수가 3위를 기록하고 있다.

 

 

매화나무의 수령을 비교해보면 통도사의 자장매는 대략 350년 정도로 추정하고 있는데, 305년이라 한 지도 10년은 넘은 것 같다. 통도사 창건주 이름을 따서 자장매라 부르고 있다. 또 다른 전해지는 이야기에 의하면 1942년 해방 직전 양산의 물금포교당에서 월하스님이 한 뿌리 얻어와 심었다고 한다. 자장매는 겹꽃으로 만첩홍매화다.

 

 

화엄사 장육화, 흑매화는 계파선사가 장륙전(각황전)을 건립 후 심었다고 한다. 장륙전은 1702년(숙종 28) 중건되었으므로 흑매화의 수령은 319년 정도인데, 자장매보다는 약간 젊은 나무다. 자장매는 밑둥에서 두 개의 가지로 뻗어나가 하나는 굵고, 하나는 작은 편이다. 화엄사 장육화(흑매화)역시 밑둥에서 두 개의 가지로 분화되었다.

 

2. 통도사 국보와 보물

 

통도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으뜸 사찰로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불보종찰이다. 영축총림 통도사는 646년(신라 선덕여왕 15)에 자장율사(慈藏律師)에 의해 창건되었다. 통도사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정골(頂骨)과 지절(指節), 치아사리, 금란가사가 봉안되어 있어 불지종가(佛之宗家)이자 국내에서 가장 큰 가람으로서 국지대찰(國之大刹)의 사격(寺格)을 지닌 사찰이다.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梁山 通度寺 大雄殿 및 金剛戒壇)은 국보 제290호로, 정면 3칸, 측면 5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의 법당이다. 통도사의 가람 건축들은 대부분 동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대웅전은 남쪽을 향하고 있으며, 뒤쪽에는 금강계단이 있다.

 

중요 유물로는 보물 제334호 청동 은입사 향완, 보물 제471호인 봉발탑, 보물 제1041호 영산전 팔상도, 보물 제1353호 영산회상탱, 보물 제1042호 대광명전 삼신불도, 보물 제1350호 석가여래괘불탱, 보물 제1351호 괘불탱, 보물 제1352호 화엄탱, 보물 제1354호 청동 은입사 향완, 보물 제1471호 삼층석탑, 보물 제1472호 아미타여래설법도, 보물 제1711호 영산전 벽화, 보물 제1735호 청동은입사향완, 보물 제1747호 은제도금 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보물 제1826호 영산전, 보물 제1827호 대광명전, 보물 제74호 국장생석표 등이 있다.

 

통도사는 2018년 6월 30일 바레인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의 심의 결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으로 등재되었다. 동시에 등재 확정된 산사는 경남 양산 통도사, 경북 영주 부석사, 충북 보은 법주사, 전남 해남, 대흥사, 경북 안동 봉정사, 충남 공주 마곡사, 전남 순천 선암사다.

 

3. 자장매 주변 전각인 영산전과 영각 소개

 

자장매 우측 앞에 있는 영산전(靈山殿)을 소개한다. 영산전은 조선시대(1714년)에 건립된 보물 제1826호로 하노전(下爐殿)의 중심 건물이다.

 

남향한 영산전의 전방 좌우에는 극락전과 약사전이 동서에 놓여 있고, 그 중앙 지점에는 신라 말기의 3층 석탑 1기가 있다. 이 탑은 현 위치에서 동북쪽 약 1.5m 지점에 경사진 채 있었으나 최근에 현 장소로 이동하여 복원되었다.

 

영산전의 초창 연대는 미상이나 현 건물은 숙종 30년(1704) 송곡대사(松谷大師)에 의하여 중건된 것으로 짐작된다. 현재 통도사성보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는 『영산전천왕문양중창겸단확기(靈山殿天王門兩重創兼丹雘記)』에 따르면, 1713년 봄 영산전과 천왕문이 화재로 소실되었고 1714년 청인(淸印), 정안(正眼), 낭일(朗日), 치원(致源) 등 4분의 대선사가 중창하였다고 한다.

 

건물의 구조는 전면 5칸, 측면 3칸의 다포계 양식의 맞배지붕 양식이며 내외 벽화는 매우 주목되는 작품이다. 외벽의 그림은 풍화(風化)를 받아 많이 훼손되었으나 내벽의 그림은 그런대로 잘 남아있다. 특히 내부 벽화의 다보탑을 비롯하여 양류관음(楊柳觀音), 나한상, 여러 가지 경설(經說)의 내용들이 품격 높은 수작(秀作)으로 국내에서 보기 드문 희귀한 작품이다.

 

영산전 팔상탱(靈山殿 八相幀)은 보물 1041호로 석가모니의 일생을 여덟 장면으로 나누어 그린 가로 151㎝, 세로 233.5㎝의 비단에 채색한 그림이다. 팔상탱은 석가모니가 도솔천에서 코끼리를 타고 사바세계로 내려오는 장면인 도솔래의상, 석가모니가 룸비니공원에서 마야부인의 옆구리를 통해 출생하는 모습을 그린 비람강생상이 있다.

 

태자가 성문 밖의 중생들의 고통을 관찰하고 인생무상을 느끼는 장면의 사문유관상,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출가하는 장면을 묘사한 유성출가상, 설산(雪山)에서 수행하는 모습을 그린 설산수도상, 태자가 수행 중 온갖 유혹과 위협을 물리치는 수하항마상, 부처가 녹야원에서 최초로 설법하는 모습을 나타낸 녹원전법상, 부처가 쌍림수 아래에서 열반에 이르는 모습을 표현한 쌍림열반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도사 자장매는 양지바른 남향의 영각(影閣) 앞에 있다. 자장매가 1월 초순부터 일찍 꽃망울을 피우는 것은 주변의 전각인 영각, 영산전, 관음전이 한겨울의 차가운 북풍한설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영각은 역대(歷代) 주지(住持) 및 큰스님들의 진영(眞影)을 봉안한 건물로 정면 8 칸 측면 3칸의 긴 장방형(長方形) 평면(平面)으로 된 팔작집이다. 초창 연대는 분명치 않으며 현재의 건물은 1704년(숙종 30년)에 지었다고 전한다. 처음에는 영자전(影子殿)이라 불리다가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4. 화엄사 국보와 보물

 

화엄사는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다. 창건에 관한 상세한 기록은 전하지 않으나 ‘사적기(寺蹟記)’에 따르면 544년(신라 진흥왕 5년, 백제 성왕 22년)에 인도 승려 연기(緣起)가 세웠다고 기록되어 있다. 신라 말기에는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수하였고 고려시대에 네 차례의 중수를 거쳐 보존되어 오다가 임진왜란 때 전소되고 승려들은 학살당하였다.

 

장륙전은 임진왜란 때 5,000여 칸에 이르는 화엄사의 전각들이 대부분 불에 타면서 함께 소실되었다. 범종은 왜군이 일본으로 가져가려고 섬진강을 건너다가 배가 전복되어 강에 빠졌다고 전한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30년(인조 8년)에 벽암선사가 절을 다시 세우기 시작하여 7년만인 인조 14년(1636년)에 완성하였다. 화엄사에는 각황전을 비롯하여 국보 4점, 보물 5점, 천연기념물 1점, 지방문화재 2점등 많은 문화재와 20여동의 부속 건물이 배치되어 있다.

 

각황전은 국보 제67호로 지정된 매우 유명한 건물이며 현존하는 목조건물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그 웅장한 외양이 보는 이의 시선을 압도한다. 대개의 절은 대웅전을 중심으로 가람을 배치하지만, 이 절은 각황전이 중심을 이루어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주불(主佛)로 공양한다.

 

각황전 왼편 효대라는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4사자 3층석탑은 화엄사를 창건한 연기조사가 어머니의 명복을 빌며 세운 탑으로 특이한 의장과 세련된 조각솜씨를 자랑하는 걸작으로 국보 제35호이다. 각황전 내부 후편에 위치하고 있는 영산회 괘불탱은 국보 제301호로 1997년도에 지정되었다.

 

4사자 3층석탑은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 천인상을 도드라지게 새겼는데, 악기와 꽃을 받치고 춤추며 찬미하는 등의 다양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가장 주목되는 위층 기단은 암수 네 마리의 사자를 각 모퉁이에 기둥삼아 세워 놓은 구조로, 모두 앞을 바라보며 입을 벌린 채 날카로운 이를 드러내고 있다.

 

사자들에 에워싸여 있는 중앙에는 합장한 채 서 있는 스님상이 있는데 이는 연기조사의 어머니라고 전하며, 바로 앞 석등의 탑을 향해 꿇어앉아 있는 스님상은 석등을 이고 어머니께 차를 공양하는 연기조사의 지극한 효성을 표현해 놓은 것이라 한다.

 

각황전 앞뜰에 서있는 석등은 국보 제12호로 지정되어 있다. 높이 6.3m, 직경 2.8m로 국내 최대 규모이며, 통일 신라시대 불교 중흥기의 찬란한 조각예술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대웅전은 보물 299호로 조선시대의 우수한 예술성이 잘 나타나 있다.

 

대웅전은 화엄사의 건물 중 각황전 다음으로 큰 건물이다. 지금 있는 건물은 조선 인조 8년(1630년)에 벽암대사가 다시 세운 것이라고 한다. 대웅전 양편에 서있는 5층탑은 뛰어난 조형성과 섬세한 장식이 눈길을 끄는 신라시대 작품으로 보물 제132호와 133호로 지정돼 있다.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은 보물 제300호로 지정되었다. 원통전 앞에 서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독특한 석탑으로, 네 마리의 사자가 길쭉하고 네모난 돌을 이고 있는 모습이다. 절에서는 보통 노주라고 부르는데, 무엇으로 사용되었는지 정확히는 알 수 없으며, 불사리를 모셔놓은 것이라 하기도 하고, 불가의 공양대로 쓰였을 것이라는 추측만 있을 뿐이다.

 

5. 구례 화엄사의 흑매화 관리에서 통도사가 벤치마킹할 점

 

지리산 화엄사의 명물 홍매화와 들매화(야생 매화)를 휴대전화 카메라에 담아보는 사진 콘테스트가 열린다. 화엄사의 부속 암자인 길상암에는 천연기념물 485호로 지정된 들매화가 있다. 화엄사(주지 덕문 스님)는 3월 16~27일 ‘제1회 홍매화・들매화 휴대폰 카메라 사진 콘테스트’를 개최한다.

 

화엄사 홍매화는 장륙전이 있던 자리에 조선 숙종 때 각황전을 중건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계파선사(桂波禪師)가 심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장육화(丈六花)라고 하며, 다른 홍매화보다 꽃이 검붉어 흑매화라 불리기도 한다. 조선 숙종 28년(1702)에 장륙전 건물을 다시 지었으며, ‘각황전’이란 이름은 임금(숙종)이 지어 현판을 내린 것이라고 한다.

 

흑매화는 국보인 각황전, 그리고 원통전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데, 매화나무의 크기는 매우 크다. 나무의 키가 각황전의 전각 1층보다 높고, 원통전 전각보다 높다. 나무가 자연스럽게 자라도록 관리하고 있다. 화엄사 흑매화는 2019년 3월 19일에 촬영하였으며, 통도사 매화꽃은 지난 3월 4일에 찍었다.

 

반면 통도사 극락보전 옆의 연분홍 매화나무와 진분홍 매화나무, 수양매화나무는 인위적으로 성장을 억제하는 전지로 매화꽃을 볼품없게 만들었다. 몇 년 주기로 이런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앞으로 전문 조경회사에 맡겨 세심한 전지, 영양제 투입, 거름주기 등을 할 필요가 있다. 통도사는 자장매와 홍매화 관리를 화엄사의 흑매화처럼 자연스럽게 하는 것이 좋을듯하다.

 

통도사는 화엄사의 휴대폰 카메라 사진 콘테스트를 벤치마킹하여 내년에 이런 이벤트를 개최하면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통도사 입장객 수는 2018년 통계에서 자장매가 활짝 핀 2월이 연중 최고로 입장객이 많다. 극락보전 옆의 홍매화를 감상할 수 있는 3월은 연중 3위를 기록하고 있음을 볼 때 홍매화 전지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통도사는 수동적인 관광객 수용 정책을 벗어나 적극적인 관광마케팅 기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YNEWS 심상도 총괄위원장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