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맑음속초15.2℃
  • 맑음8.5℃
  • 맑음철원8.1℃
  • 맑음동두천8.8℃
  • 맑음파주8.6℃
  • 맑음대관령6.6℃
  • 맑음춘천9.1℃
  • 박무백령도9.2℃
  • 구름조금북강릉17.2℃
  • 맑음강릉19.3℃
  • 구름조금동해16.1℃
  • 박무서울11.9℃
  • 박무인천11.4℃
  • 맑음원주11.0℃
  • 구름많음울릉도15.3℃
  • 박무수원9.2℃
  • 구름많음영월8.6℃
  • 구름많음충주8.7℃
  • 구름조금서산8.4℃
  • 구름조금울진13.8℃
  • 박무청주12.3℃
  • 구름조금대전10.4℃
  • 구름많음추풍령9.1℃
  • 구름조금안동9.3℃
  • 구름많음상주9.9℃
  • 구름많음포항15.9℃
  • 구름많음군산9.5℃
  • 흐림대구12.7℃
  • 박무전주11.4℃
  • 구름많음울산14.0℃
  • 흐림창원13.6℃
  • 흐림광주12.7℃
  • 흐림부산14.6℃
  • 흐림통영12.6℃
  • 흐림목포12.0℃
  • 흐림여수14.2℃
  • 흐림흑산도12.2℃
  • 흐림완도12.6℃
  • 흐림고창8.6℃
  • 흐림순천10.2℃
  • 박무홍성(예)8.8℃
  • 구름조금8.3℃
  • 흐림제주15.2℃
  • 흐림고산14.1℃
  • 흐림성산12.9℃
  • 흐림서귀포15.3℃
  • 흐림진주10.8℃
  • 맑음강화7.9℃
  • 맑음양평9.8℃
  • 맑음이천10.0℃
  • 맑음인제8.3℃
  • 맑음홍천9.2℃
  • 구름조금태백7.2℃
  • 맑음정선군6.7℃
  • 구름조금제천7.3℃
  • 구름많음보은8.0℃
  • 구름조금천안8.6℃
  • 구름조금보령9.9℃
  • 구름많음부여9.9℃
  • 구름많음금산9.1℃
  • 구름조금10.2℃
  • 구름많음부안9.8℃
  • 흐림임실9.4℃
  • 흐림정읍9.5℃
  • 흐림남원11.2℃
  • 흐림장수8.4℃
  • 흐림고창군9.2℃
  • 흐림영광군9.3℃
  • 흐림김해시14.0℃
  • 흐림순창군10.6℃
  • 흐림북창원14.2℃
  • 흐림양산시13.0℃
  • 흐림보성군12.3℃
  • 흐림강진군11.7℃
  • 흐림장흥11.2℃
  • 흐림해남10.5℃
  • 흐림고흥11.9℃
  • 흐림의령군10.8℃
  • 흐림함양군10.5℃
  • 흐림광양시13.5℃
  • 흐림진도군10.6℃
  • 구름많음봉화6.9℃
  • 구름조금영주7.7℃
  • 구름조금문경8.9℃
  • 구름많음청송군7.7℃
  • 구름많음영덕15.8℃
  • 구름많음의성7.7℃
  • 흐림구미11.0℃
  • 흐림영천9.7℃
  • 흐림경주시11.0℃
  • 흐림거창9.8℃
  • 흐림합천11.3℃
  • 흐림밀양12.6℃
  • 흐림산청11.1℃
  • 흐림거제11.9℃
  • 흐림남해13.0℃
  • 흐림11.9℃
류춘열 박사의 월요기고/맞춤형 전문가의 필요성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칼럼

류춘열 박사의 월요기고/맞춤형 전문가의 필요성

공적인 가두리 양식의 결실을 거두기 위해서는 이 분야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맞춤형 가두리 양식 전문가’가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천재지변(태풍, 적조현상 등)에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충분한 사전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어떤 분야이든 전문적인 지식과 수많은 경험 그리고 돌발적인 상황에 즉각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전문가로 거듭나지 않는다면 결코 성공이란 단어는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20190531151651_e05b0517606a440404c463148a6d6f9f_pa8j.jpg

류춘열 박사 / 日本 요코하마국립대학교 대학원 졸업

 

옛날, 어부들은 주로 바닷가에서 그물이나 낚시를 사용해서 고기를 잡아 생계를 꾸려 나갔다. 그 당시는 바닷가에 고기들이 많아 생활하기에는 무리가 없을 정도였는데, 점점 낚시꾼들과 어민들이 늘어나자 낚시만으로 생활하기가 어려워지게 되었다.

 

고민 끝에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것은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조업을 하는 것이었다. 조금만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면 엄청나게 많은 고기를 잡을 수 있었다. 

 

이런 소문이 삽시간에 퍼지자 너도나도 배를 구입해서 바다로 나가기 시작했다. 이 방법 또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게 되었으며, 심지어는 배 두척을 이용하여 양쪽에서 길다란 날개 그물을 쳐 같은 방향으로 끌고 가는 소위 쌍끌이 조업방식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결국은 무차별적인 조업으로 인해 근해의 어획량이 점점 줄어들게 되었다. 조업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자 더 많은 어획량을 확보하기 위해 어군탐지기, 음파원격어탐기 등의 최첨단 장비까지 동원하여 고기를 마구 잡아들이기 시작했다.

 

어군탐지기는 초음파의 지향성을 이용하여 어군의 분포층, 분포 농도, 해저의 상황 등을 탐지하는 장비로 물속에 있는 어군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기계이다. 

 

이것은 수면 아래에서 발사된 초음파가 해저나 어군 등에 부딪혀서 반사해 오는 것을 포착하여 어군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어군탐지기는 기본적으로 전기진동을 일으켜 송파기에 보내주는 발진기, 초음파를 수중에 발사하는 송파기, 메아리를 수신하는 수파기, 수파기에서 수신한 미약한 메아리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메아리의 상황을 기록이나 영상으로 나타내는 지시기, 어군탐지기 전체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전원 등 여섯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음파원격어탐은 초음파 발신기를 저인망 뜸줄 아래쪽과 위쪽을 향하도록 달아서 그물의 높이와 그 사이의 어군을 계측하고 그 반사를 텔레미터식으로 배에 보내는 장치이고, 음파원격어탐기는 저층이나 중층트롤에 있어서 초음파 발신기를 뜸줄 아래쪽과 위쪽을 향하도록 장치하여 이것이 제공하는 정보 즉, 어구의 전개상태 및 소재 위치, 입망되는 어군의 동태 등을 수신하여 지시하는 장치이다.

 

결국, 쌍끌이에다가 첨단장비까지 장착한 조업방식은 바다고기의 씨를 말리게 되었고, 각 지역의 부두에는 현재의 포획량으로는 기름 값과 인건비조차 감당하기 어려워 출항조차 하지 못하는 배들로 가득 메우게 되었다. 심지어 한 어선 관계자는 출항하지 못하는 배들을 이용하여 ‘고기잡이 체험현장’이나 ‘해양레저’로 활용하자는 의견까지 나올 지경이다.

 

마침내, 어려운 어업생활이 계속되자 일부 어민들은 가두리 양식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초창기 가두리 양식은 둑을 만들어 양식장을 마련해야 했다. 이 방법은 경비도 많이 들고 수질 오염이 되면 양식하는 어류가 모두 폐사되므로 실용적이지 못했다. 반면, 그물 구획이나 가두리를 만들어 그 속에 어류를 수용하면 경비도 적게 들고, 가두리 안팎의 물이 자유로이 통과하므로 수질개선도 원활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작은 시설에 많은 양의 어류를 기를 수 있으므로 시설 면에서는 매우 경제적이었다.

 

가두리가 이용되는 곳은 만이나 인공호 등이며, 주로 식용어 양식을 위한 그물 가두리가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그물코가 작은 가두리를 이용하게 됨에 따라 어린 치어도 기를 수 있게 되었다. 

 

가두리는 설치하는 장소와 수질에 따라서 다양한 사육어종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어류를 고밀도로 수용하고 많은 사료를 주게 되어 다량의 노폐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가두리를 설치한 장소 부근에는 부영양화가 심해져서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가두리를 설치한 수면이 작을 때에는 가두리속의 어류가 내놓는 배설물에 의하여 수면 전체가 오염된다. 

 

그러므로 가두리 설치 장소는 수면이 넓어 수량이 많고 영양 염류가 적은 빈영양호가 좋다. 결국, 성공적인 가두리 양식을 위해서는 그물의 재료, 가두리 뜸 장치, 사료, 수질, 어종, 자연재해(태풍, 녹조현상 등), 이상기온 등의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어 진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가두리 양식의 결실을 거두기 위해서는 이 분야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맞춤형 가두리 양식 전문가’가 반드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천재지변(태풍, 적조현상 등)에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충분한 사전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어떤 분야이든 전문적인 지식과 수많은 경험 그리고 돌발적인 상황에 즉각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전문가로 거듭나지 않는다면 결코 성공이란 단어는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양산스마트뉴스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