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맑음속초10.1℃
  • 황사3.7℃
  • 구름많음철원4.4℃
  • 구름많음동두천4.6℃
  • 구름많음파주4.6℃
  • 맑음대관령1.6℃
  • 맑음춘천6.4℃
  • 비백령도7.0℃
  • 황사북강릉7.9℃
  • 맑음강릉9.9℃
  • 맑음동해8.7℃
  • 황사서울5.4℃
  • 황사인천5.7℃
  • 맑음원주6.0℃
  • 맑음울릉도9.6℃
  • 황사수원4.8℃
  • 맑음영월4.5℃
  • 맑음충주4.0℃
  • 구름많음서산4.4℃
  • 맑음울진8.8℃
  • 맑음청주6.6℃
  • 황사대전6.3℃
  • 맑음추풍령7.0℃
  • 맑음안동6.0℃
  • 맑음상주6.8℃
  • 맑음포항8.7℃
  • 맑음군산5.8℃
  • 박무대구6.5℃
  • 박무전주6.9℃
  • 맑음울산9.2℃
  • 맑음창원6.5℃
  • 박무광주7.5℃
  • 맑음부산9.5℃
  • 맑음통영8.4℃
  • 맑음목포8.3℃
  • 맑음여수9.0℃
  • 박무흑산도8.1℃
  • 맑음완도8.1℃
  • 맑음고창6.0℃
  • 맑음순천5.4℃
  • 황사홍성(예)5.2℃
  • 맑음4.8℃
  • 맑음제주10.1℃
  • 맑음고산10.7℃
  • 맑음성산8.5℃
  • 맑음서귀포10.2℃
  • 맑음진주5.8℃
  • 흐림강화4.1℃
  • 맑음양평4.9℃
  • 구름조금이천4.5℃
  • 맑음인제6.7℃
  • 맑음홍천3.8℃
  • 맑음태백4.4℃
  • 맑음정선군4.7℃
  • 맑음제천3.1℃
  • 맑음보은3.6℃
  • 맑음천안3.1℃
  • 맑음보령6.3℃
  • 맑음부여5.4℃
  • 맑음금산2.6℃
  • 맑음5.6℃
  • 맑음부안6.6℃
  • 맑음임실3.3℃
  • 맑음정읍6.1℃
  • 맑음남원4.2℃
  • 맑음장수1.2℃
  • 맑음고창군6.2℃
  • 맑음영광군6.7℃
  • 맑음김해시7.7℃
  • 맑음순창군6.5℃
  • 맑음북창원7.9℃
  • 맑음양산시8.3℃
  • 맑음보성군7.1℃
  • 맑음강진군6.6℃
  • 맑음장흥5.1℃
  • 맑음해남7.5℃
  • 맑음고흥7.5℃
  • 맑음의령군4.5℃
  • 맑음함양군4.7℃
  • 맑음광양시7.9℃
  • 맑음진도군6.8℃
  • 맑음봉화2.5℃
  • 맑음영주7.2℃
  • 맑음문경3.4℃
  • 맑음청송군4.5℃
  • 맑음영덕9.2℃
  • 맑음의성4.4℃
  • 맑음구미5.0℃
  • 맑음영천6.4℃
  • 맑음경주시6.6℃
  • 맑음거창3.6℃
  • 맑음합천4.6℃
  • 맑음밀양5.5℃
  • 맑음산청6.1℃
  • 맑음거제7.6℃
  • 맑음남해10.4℃
  • 맑음6.7℃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정원인 양산의 우규동 별서 제1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칼럼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정원인 양산의 우규동 별서 제1탄

20190904_102255_HDR[1] (1).jpg

 

한국 전통정원의 중요성

 

산림청은 2016년부터 ‘정원 진흥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한국 정원 세계화를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는 등 개청 50주년을 맞아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였다. 


20190904_102024[1] (1).jpg

 

지난 7월에 양산의 황산공원이 경남도 제2호 정원으로 지정되는 경사가 있었다.

 

양산시는 오는 2021년까지 국비 30억 원을 포함, 모두 60억 원을 들여 황산공원 내 18만㎡ 부지에 지방정원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르면 연내, 늦어도 내년 초부터 실시설계를 거쳐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20190904_102539[1] (1).jpg

 

기존 수로 주변 습지를 활용한 ‘창포원’에는 전통정자와 족욕장인 창포탕도 만든다. 젊은 도시 양산의 색채(흰색 꽃)를 이미지화한 ‘양산테마원(일명 하얀풍차원)’, 오감·오방색 재료를 도입한 치유정원인 ‘오감치유원’, 초화정원이자 체험광장(물길)인 ‘낙동강 12경 정원’도 들어선다.

 

20190904_102802_HDR[1] (2).jpg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도시경관과 전통정원 경관을 바라볼 때의 기억력과 사고력, 감정을 조절하는 뇌 전두엽의 혈류량이 뚜렷하게 줄어들어 두뇌 활동이 안정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20190904_103202_HDR[1] (1).jpg

 

도시에서 생활하며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시달릴 수 있는 현대인들이 자연으로 둘러싸인 정원을 통해 부정적 감정을 해소시키고 정서를 순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실증 사례다. 우리나라는 숲 치유, 정원에 대한 개념이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최근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하였다.

 

20190904_104927_HDR[1] (1).jpg

 

사찰이나 궁궐이나 고택이 아니고서는 일반인들이 전통정원을 접하기가 쉽지 않다. 양산시에 우규동 별서라는 전통정원이 있어 그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어 다행이다. 현재 복원이 진행되는 과정에 있어 완성된 상태는 아니지만 아쉬운 대로 원형의 일부를 볼 수 있다.

 

20190904_110339[1] (1).jpg

 

서울의 전통정원 성락원

 

서울에 남아 있는 유일한 한국 전통정원인 성락원은 1만 6천㎡ 규모로 1992년 사적 제378호로 지정됐다가 2008년 명승 제35호로 다시 지정됐다. 문화재 지정 이후 여러 차례 복원사업이 진행되어왔으며, 2017년부터 서울시와 문화재청이 성락원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여 연차별, 단계별로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90904_112505[1] (1).jpg

 

현재 성락원은 개인소유로, 4월 23일부터 6월 11일까지 하루 20명 한정 인원으로 한시적으로 개방하였는데, 관람신청이 쇄도하여 인기를 끌었다. 개방은 시설을 관리하는 가구박물관과 서울시, 문화재청이 한국의 전통정원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준비하였다.

 

조선 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심상응의 별장이었으나, 의친왕 이강(1877∼1955)이 35년간 별궁으로 사용했던 곳이다. 성락원이란 이름은 '도성 밖 자연의 아름다움을 누리는 정원'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조선시대 서울 도성 안에 위치한 몇 안 되는 별서 정원으로 암반과 계곡 등 자연 지형을 최대한 살리고 인간의 손길을 최소화해 조선시대 정원의 정수를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안뜰은 영벽지와 폭포가 있으며 바깥뜰은 송석과 연못이 있는 지역이다. 서쪽 아래 지역에 늪이 있고, 북쪽에는 물길을 파서 인공폭포를 만들었다. 성락원 내원에는 자연 연못인 영벽지가 있는데, 서쪽 암벽에 '장빙가(檣氷家)'라고 새긴 글씨는 명필 추사 김정희 선생이 썼다.

 

의금부도사와 통정대부를 지낸 우규동이 만든 별서

 

양산에도 전국적으로 유명한 우규동 별서(別墅)가 있는데, 자연과 인공이 조화를 이뤄 매우 아름답다. 우규동 별서는 양산시 어곡동 산 5번지에 위치한 면적 11,820㎡이며, 1992년 10월 21일 경남도 문화재자료 제189호로 지정되었다. 

 

서울의 성락원은 문화재로 잘 보호받아왔는데, 양산을 대표하는 전통정원인 우규동 별서는 양산시의 무관심으로 주변환경이 급격히 악화되었다.

 

우리나라를 대표할만한 한국 전통정원인 우규동 별서가 파괴되고 정자가 불태워져 원형이 심각하게 파괴된 것은 6.25 전쟁 때문이었다. 별서가 자리 잡은 새터마을은 선암산의 깊은 계곡으로 주변의 신불산 등지에 빨치산이 준동하였다. 

 

공비들이 주민들을 납치, 식량약탈 등으로 괴롭혀 유엔군이 작전상의 요인, 주민 안전을 위해 마을을 불태우고 주민을 철수시켰다. 이때 우규동 별서의 소한정, 쌍청각 역시 불태워졌다.

 

주민들이 철수하여 오랫동안 버려져 있던 우규동 별서는 6.25 전쟁이 끝나고 치안이 안정되자 다시 주민들이 여름철 피서지로 이용하게 되었다. 어곡초등학교 학생들은 봄, 가을 소풍 때면 우규동 별서가 있는 소한정 계곡으로 놀러왔다고 한다. 

 

김일권 양산시장은 어곡초등학교 출신인데, 어린 시절 이곳으로 소풍을 왔다고 한다. 우규동의 손자 우종신 전 양산농협 상무 역시 여기로 소풍 온 기억이 생생하다고 한다.

 

어곡초등학교 연혁은 1939.05.05 양산공립보통학교 부설 어곡간이학교로 인가, 1944.04.10 북물금국민학교로 승격, 1946.06.10. 어곡국민학교로 교명 변경, 2019.2.15. 제70회 졸업식 39명 졸업(총 2,994명 졸업), 2017.10. 31 학교 이설 개교기념식(양산시 두전길 30-14).어곡초등학교의 교가(작사, 작곡 : 박상호 교장)의 가사를 보면 우규동 별서를 암시하는 가사 내용이 나온다. 1절 “선암산 줄기받아 반룡대 정자/ 산 높고 물도 맑은 어실의 고장, 2절 맑은 물 흐르는 두연대라면 흘러서 유산 앞 흘러 넓은 복현수, 후렴 나날이 자라나는 어린이 강산/ 내일의 이 강산을 빛내어나갈/ 이름은 어곡학교 우리의 학교“높은 산 선암산(매봉 해발 706m)에서 흘러 내리는 삼미천의 맑은 물은 우규동 별서를 묘사하는 내용이다. 

 

아쉽게도 소한정 대신에 반룡대 정자가 가사에 나온다. 선암산은 어곡 공단의 뒷산쯤으로 여겨져서 한때 어곡산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지만 동네 주민들의 노력으로 제 이름을 찾았다. 영축산 남지맥의 가운데에 우뚝 서 있다. 

 

고당봉, 달음산과 함께 부산 근교의 3대 암봉으로 손꼽히고 있다. 부산서 한 시간 거리 주말 산행지로 제격이어서 인기를 끌고 있다. 교가에 나오는 어실의 고장은 신라 진성여왕의 왕릉이 어곡에 있다는 전설과 연관되어 있다.

 

우규동의 증손자 우종신 전 상무의 별서 복원 노력

 

20190904_104433_HDR[1] (2).jpg

 

2016년 1월 22일 강서동주민센터에서 열린 나동연 양산시장과 시민과의 간담회에서 우규동의 증손자인 우종신 양산농협 어곡지점장은 경남도지정 문화재자료인 우규동별서에 야외 화장실 설치, 어곡제2산단 조성으로 인한 발파작업으로 발생한 피해 복구와 배상을 요청한 바 있었다. 

 

우규동 별서 주변은 레미콘 공장, 산단 조성으로 환경여건이 좋지 않다. 양산시에서 관심을 갖고 방문객을 위한 도로정비, 주차장, 화장실, 안내표지판 설치를 해야 하겠다.


단양 우씨 문중에서 복원사업을 하고 있다. 우규동의 증손자인 우종신 양산농협 전 상무가 조상의 유적을 되살리기 위하여 백방으로 뛰어다니며 한국전통 정원 전문가, 교수, 학자를 만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양산시 문화관광과와 경남도에 건의하여 5천만 원 예산으로 학술조사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우종신 전 양산농협 상무는 어곡초 23회, 양산중 25회, 동인고 2회, 한국해양대학교에서 학사 및 경제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양산초 전 운영위원장, 양산중 총동창회 및 축구부 후원회 전 사무국장, 양산중 25회동기회 전 회장, 동인고 양산동문회 전 회장, 강서동문화체육회 전 회장을 역임하였다. 농협중앙회 MBA 4기 졸업, 양산농협 32년 근무, 양산농협 석산농협 지점장, 어곡지점장, 본점 총괄상무를 역임하였다.

 

현재 양산시 향교 장의 및 유도회 회원, 양산시 4H본부 사무국장, (사)산수보전협회 및 강서동자율방범대 자문위원을 맡아서 활발한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소한정을 복원을 하기 위해서는 사전 학술조사가 중요하다. 

 

우종신 씨가 전문가들을 통해 받은 자문에 의하면 현재 나무가 너무 우거져 숲이 되어 정원으로서 기능이 상당히 상실되었으므로 나무를 벌채할 부분이 많다고 하였다. 소한정에 처음 식재했다가 나중에 말라죽은 나무는 다시 식재한다고 하였다.

 

최근 복원한 정자는 단청을 하지 않았는데, 전문가에 의하면 소나무의 송진이 자연스럽게 마른 다음에 단청을 해야 한다고 한다. 복원하기 전 노후 정자에 있던 대들보를 재활용하여 신축한 정자에 옮겼다. 정자에서 위를 쳐다보면 상량문이 잘 보인다.

 

우종신 씨가 이번 여름에 가족과 함께 소한정에 놀러왔는데, 이미 다른 관광객이 차지하여 피서를 하고 있어 차마 주인이라는 말을 하지 못해 양보하고 정자 옆에서 돗자리 깔고 휴식을 취했다고 얘기하여 웃음이 나왔다.

 

필자가 강동환 씨와 9월 4일 답사를 할 때 직접 나와서 상세하게 안내를 해주었으며,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원래 소한정이 있던 자리, 연못이었던 세심당의 자리도 안내해주고, 칠성단도 올라가 설명을 해주었다. 비 온 직후라 계곡인 삼미천은 매우 미끄러워 한 발 내디딜 때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우종신 전 상무는 땀을 뻘뻘 흘리며, 한편으로는 모기에 물려가면서도 선조의 유적에 대하여 열정적으로 설명해주어 감명을 받았다. 감사드리는 바이다. 소한정은 현재 포장도로가 나기 전에는 개울을 건너 오솔길을 따라서 접근했다고 하였다. 옛날 어곡초등학교 다니면서 소풍 올 때는 오솔길을 이용했는데, 요즘 축대가 일부 무너져서 길이 일부 단절되었다. 

 

복원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계곡을 건너기 위해서는 교량을 설치해야 한다.

 

도로변에서 표지판이 있는 곳에는 우편함도 설치되어 있어 사람이 거주한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나중에 보니 우종신 전 상무의 친척이 아직도 소한정 안쪽에 살고 있었다. 그 분도 차를 갖고 있으므로 답사객이 입구에 주차하여 가로막으면 안 된다. 다른 차들이 통행할 수 있도록 도로 한편에 바짝 붙여서 주차를 해야만 한다.

 

의금부도사

 

벽은(碧隱) 우규동(禹奎東)은 조선 후기 의금부도사와 통정대부의 벼슬을 지낸 인물이다. 우규동이 풍류를 즐기기 위해 세웠던 만년 휴식처로 1910년 별장처럼 따로 지었으며, 소한정, 쌍청각이라는 2개의 정자, 세심당이라는 연못이 있었다. 정자의 상량문에 경술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계곡의 아름다운 곳과 상징적인 장소에는 바위에 글자를 새겨서 12경을 만들었다. 정자 주위에는 대나무, 소나무, 배롱나무, 감나무, 매화나무, 회화나무, 배나무, 단풍나무 등을 심어 놓았고, 기암괴석도 배치하였다. 시냇물이 흐르는 아름다운 계곡 주변의 자연경관에 유교, 불교, 도교(신선사상)에 입각한 12개의 이름을 각각 명명하여 12경을 만든 것이 특색이다.

 

조선 시대 왕명을 받들어 죄인을 추국(推鞫)하던 의금부의 5~6품 관리를 의금부도사라 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종 초에 순위부(巡衛府), 의용순금사(義勇巡禁司)로 칭호가 바뀌었다. 1414년(태종 14) 의용순금사를 의금부로 개편해 사법 전담기관으로 독립시켰다.

 

의금부의 구성을 보면, 1466년(세조 12) 판사 중심의 경국대전(經國大典)체제로 개편되었다. 당상관은 4인으로 판사(判事, 종1품), 지사(정2품), 동지사(同知事, 종2품)를 두었으나 모두 다른 관원으로 겸임하게 하였다. 당하관은 10인으로 경력(經歷, 종4품)과 도사(종5품)를 두었다. 『속대전』에서는 경력은 없어지고 종6품 도사 5인과 종9품 도사 5인을 두었다.

 

의금부의 사법기능으로 첫째, 전제왕권을 옹호하는 역할을 들 수 있다. 둘째, 유교 윤리를 옹호하는 기관이었다. 셋째, 왕의 교지를 받들어 추국하는 최고의 사법기관이었다. 넷째, 대외관계 범죄를 전담하는 기관이었다. 외국 공관의 감시, 밀무역 사범의 단속, 외국인의 무례한 행위, 외국인의 범죄 등을 다뤘다. 다섯째, 양반 관료의 범죄를 취급해 일반 백성들과는 달리 양반 관료를 우대하였다.

 

의금부는 사법기능 외에 여러 임무도 담당하였다. 왕명을 받들어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거나 그 밖의 잡무에 종사하였다. 즉, 왕명으로 실정을 파악하거나 민폐를 금지하는 임무를 수행하거나, 몰수한 죄인의 재산을 처리하거나, 소방서에 해당하는 금화도감(禁火都監)의 주된 구성원으로 의금부의 관원이 참여하였다. 과거시험 고사장(考査場)의 금란임무를 수행했고, 나례의식(儺禮儀式)을 주관하기도 하였다.

 

의금부 도사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 조선시대 사극에서 흔히 나오는 "저 놈의 주리를 틀어라"를 외치는 관리들이다. 또한 죄인에게 죽음을 집행하는 사약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금부도사다. 현재 정부의 공무원으로 따진다면 검찰청 평검사(4~5급) 정도의 위치로 검찰총장의 명령을 받아 죄인을 조사하는 게 기본 임무다.

 

의금부는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때 의금사로 이름이 바뀌고 법무아문(法務衙門)에 속하였다. 다음 해에 고등재판소(高等裁判所)로 바뀌었다. 다시 1899년에 평리원(評理院)으로 개편되었다.

 

통정대부(通政大夫)

 

조선시대 문신 정3품 상계(上階)의 품계명이다. 정3품 상계부터 당상관이라 하였고, 하계 이하를 당하관이라고 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3품 상계는 통정대부, 하계는 통훈대부로 정하여져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조선시대 정삼품(正三品) 동반(東班) 문관(文官)에게 주던 품계(品階)이다. 정삼품의 상계(上階)로서 통훈대부(通訓大夫)보다 상위 자리로 당상관(堂上官)의 말미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이후로 문관에게만 주다가,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는 종친(宗親:임금의 4대손까지의 친족)과 의빈(儀賓:임금의 사위)에게도 이 품계를 주었다.

 

정3품 당상관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도정(都正), 부위(副尉), 참의(參議), 참지(參知), 도승지, 좌승지, 우승지, 좌부승지, 우부승지, 동부승지, 판결사(判決事), 대사간, 참찬관(參贊官), 부제학, 규장각 직제학, 대사성, 제주(祭酒), 수찬관(修撰官), 보덕(輔德) 등이 있다. 처(妻)에게는 숙부인(淑夫人)의 작호(爵號)가 주어졌다.

 

정3품 당상관에게는 1438년(세종 20)에 정비된 녹과(祿科)에 의거하여 실직(實職)에 따라 1년에 네 차례에 걸쳐 중미(中米 : 중질의 쌀) 11석, 조미((糙米 : 매갈아서 만든 쌀) 32석, 전미(田米 : 좁쌀) 2석, 황두(黃豆 : 누런 콩) 15석, 소맥(小麥 : 참밀) 7석, 주(紬) 4필, 정포(正布) 13필, 저화 8장을 지급하였다.

아울러 정3품 당상관에게는 65결의 직전이 지급되었다. 그러나 1556년(명종 11) 직전법도 완전히 폐지되고, 이러한 정3품에 지급되던 녹봉은『속대전』에서는 당상관에게는 매달 미 1석9두, 황두 1석 5두를 지급하도록 규정하였다./동남문화관광연구소 소장, 양산숲길보전회 회장, 관광경영학 박사 심상도

 

동남문화관광연구소 소장 심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